사는게헝거게임

휴게소 토스트에서 비닐 발견! 내손안식품정보 앱으로 음식 이물질 신고 후기

자취뜰 2025. 2. 19. 09:41
반응형

산천어 축제가 한창일 때, 아침 일찍 출발하느라 밥을 먹지 못해 휴게소에 들러 토스트를 샀다. 차에 타서 한입 베어 무는 순간, 매우 이질적인 느낌이 들어 뱉었더니 치즈 비닐이 그대로 들어있었다. 평소에도 음식에서 이물질을 종종 발견해 내성이 생겼지만, 비닐은 너무 심하지 않나 싶어 바로 신고하기로 했다.

이 글에서는 내손안식품정보 앱을 활용한 신고 과정과 결과를 공유한다. 음식에서 이물질이 나왔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고 싶다면 끝까지 읽어보자!

 


1. 음식 이물질 신고 방법 (내손안식품정보 앱)

음식 이물질 신고는 PC 및 모바일 앱을 통해 가능하다. 나는 상황이 급해 스마트폰으로 바로 신고했다.

📌 내손안식품정보 앱 다운로드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내손안식품정보'를 검색 후 다운로드하면 된다.

📌 신고 절차

  1. 앱 실행 후 첫 화면에서 소비자 신고 1399 버튼 클릭
  2. 개인정보 수집 동의 후 신고자 정보 입력 (이름, 휴대전화,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
  3. 신고 유형 선택 → 나는 '이물질 발견'을 선택
  4. 제품명 검색 또는 수동 입력 (예: 제품명 '토스트', 업체명 '호봉토스트')
  5. 증거 사진 첨부 후 신고 완료

TIP: 제품 포장지, 영수증을 함께 첨부하면 신고 처리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2. 음식 이물질 신고 결과

 

1월 26일 신고 접수 → 2월 17일 결과 확인 (약 한 달 소요)

식약처에서 현장 방문하여 위생 점검을 실시했지만, 특이사항이 없다는 결과를 받았다. 다만, 개인 위생 및 식품 취급 개선 지도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과거 다른 음식점에서 고무장갑 조각이 나온 경우에는 보건증이 없어서 업체가 제재를 받은 적도 있었다.

신고 후 업체가 더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신고가 필요하다.


3. 음식에서 이물질 발견 시 대처법

 음식 이물질 발견 시 이렇게 대처하세요!(음식 이물질 신고하기 클릭)

  1. 증거 확보: 음식과 포장지를 사진 및 동영상으로 촬영
  2. 이물질 보관: 직접 버리지 말고 밀봉 보관
  3. 신고 진행: 내손안식품정보 앱이나 1399 소비자 신고 센터 활용
  4. 결과 확인: 신고 후 진행 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

신고를 통해 나뿐만 아니라 다른 소비자도 안전한 식품을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4. 결론 및 후기

비록 이번 신고에서 직접적인 조치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위생 점검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휴게소 음식에서 이물질이 나왔다면 반드시 신고하자!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해 주시고, 비슷한 경험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반응형